본문 바로가기

Deveolper diary

BackUp의 중요성...

열심히 작업을 해놓은 것을 집에와서 "다시 확인해보자~" 하는 마음에 프로그램을 실행시켰다.


먼가 좀...어색한 부분이 회사에서는 보이지 않던게 보이기 시작하더니 곰곰히 생각을 해보니 최신 업데이트 버전이 집 데스크탑에 서치가 되어있는 것을 알아 차렸다.ㅡㅡ; 현재시간은 AM 12 : 30.


시간 지났으니 오늘이지....


미팅이 오늘인데 이제 그걸 알아차렸다. 대박이군.ㅎㅎㅎ


어짜피 모듈은 동일하니 겁나 빠르게 매뉴바 (ID까지 동일하게) 만들어서 챡~챡~ 붙이고 있는데...마사까....최신버전 백업...!!!


VS2010 다시 끄고~ 급하게 폴더 찾아서 들어가니...휴~ 다행이 압축된 파일이 있다. 


아마도 업데이트를 완료 시킨 후 최신 버전을 메일로 쏴 주느라 그랬나 보다. 


오늘 심하게 생각이 드는 부분이 바로 이 백업이다. 


체계가 좀 잡혀있는 회사 같은 경우는 대다수 백업 전문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머 주로 svn을 많이 쓰는듯 하다. 


이전에 선배의 조언으로 혼자서 작업을 해도(한 2년 가까이 연구실에서 혼자 개발자였다.ㅠ) svn을 구축하거라~ 하는 조언을 듣고 그 당시 아수스 노트북에 svn을 설치하다가 windows vista 를 날린 기억이 있다. 


그리고 암센터에서 근무할때 실무 경험이 많은 선생님께서 서버에 svn을 구축하고 내가 관리를 했었다. (서버 관리 하나도 모름.ㅋ)


근데 사실 암센터에서도 그랬지만 개인적으로 (그때도 개발자는 많지만 연구 목적이기 때문에 다들 혼자 개발.ㅡㅡ;;) 하는 프로젝트를 따로 하드디스크에 백업을 해두지 svn에 귀찮아서 올리지도 않았다. 


하지만 따로 디스크에 백업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왜냐면 해당 컴퓨터에 종속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물론 외장하드에 백업을 하게 되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 난 무거워서 외장하드 않들고 다닌다.ㄱ- 그리고 하도 외장하드가 오래되서.ㅠㅋ


USB로 백업을 항상 하기는 하지만 문제는 작업을 할 것만 하고 다닌다는 것이다. 


집 컴퓨터를 원격으로 켜서 필요한 파일을 급할때는 가져오기도 하지만, 한번은 집 컴 공유기가 맛이가서 인터넷이 않된 상황도 있었다. (이때가 프로그램 완료 통보 내리고 시연중에 않되는 것을 확인하고 집 컴을 켜는거 까지 성공했다가 공유기가 갑자기 않되서 30분 만에 폭풍 코딩으로 만회 했다. 내 평생 짧은 시간에 그렇게 많은 땀을 흘려보긴 첨이다...)


머 어째든 이런저런 문제로 인하여 공유되는 백업서버가 불가피하게 필요하다고 판단 하였다. 


요즘 클라우드 잘 되어있으니 거긴 어때?  물론 괜찬은 방법이다. 하지만 회사 프로젝트를 클라우드에 올리는게 여간 찜찜 한게 아니다. 위에서 말한것 처럼 체계가 잡힌 회사라면 내부 클라우드가 있지만 우리 회사는 너무 자유분방해서.;;;ㅎㅎ


svn을 구축 해야겠어...회사 노트북에...


일단 회사 노트북을 수리를 해야겠지만 수리 되면 꼭 설치를 해야 겠다. 


---SVN 


위키백과에서 svn을 찾아보니....서브버전(Subversion) 이라고 나온다. 


자유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 시스템 으로 명령행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를 따서 'SVN'  이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제한이 있던 CVS 를 대체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콜랩넷에서 개발되었다고 한다.  -위키백과-


머 다른 버전 관리 프로그램이 있겠지만 일단 svn이 가장 다루기가 쉽고 강력하다고 하니 백업을 하면서 짬을 내서 알아 봤다.


TortoiseSVN :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거북이 버전 이라고 한다. 윈도우 프로그래머들이 좋아하는..ㅋㅋ 윈도우에서 쉽게 쓸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이다. 탐색기에 통합된 프론트 엔드 성격을 지니고 있어 팝업 매뉴/쉬운 명령법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RapidSVN : 예전 WinCvs와 유사한 멀티 플랫폼 GUI 클라이언트다. 일단 위키에서는 별 말이 없다. WinCvs는 예전에 흔히 사용했던   버전이라고 한다. 이걸 대체하기 위하여 TortoiseSVN이 이미 나와 있으니 인기가 없을것...


AnkhSVN :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스튜디오와의 통합을 제공한다. 


Subclipse : 이클립스에서 버전관리를 지원하는 플러그 인이다.


Trac :  버그 / 이슈 추적 소프트웨어 이다. 


버전 관리는 이젠 초급 개발자도 중요성을 알 것이다. ㅠㅠ 난 아직도 초급이다. 슬푸다 젠장 자꾸 자첵을 하게 되는 췟!


-출처 : 위키백과

-----대선때 쉬니 집청소 + 일마무리 + 블러그 정리를 좀 해야겠다. 이거 필수!